<적명스님과 아잔브람스님>
초기불교와 간화선의 만남
반야에 의한 대승의 의미(수보리 존자)'
밀교의 정의
'법신 보신 화신 형성의 배경'
대승경전 - 열반경의 이해
불교의 존재론 - 12처, 윤회와 재생
서역구법(西域求法) 서역불교(西域佛敎)를 가다
실크로드의 관문, 서안-①
실크로드의 관문, 서안-② / 그레코 불교와 쿠샨왕조1-(3)
그레코 불교와 쿠샨왕조2-(4) / 5) 실크로드 전법과정
7) 하서주랑과 돈황불교
<4>
변계소집성ㆍ의타기성ㆍ원성실성
한국테라와다 뿌리 내리려면? “독살이 하지 말고 모여 살아라”
한국불교, 비구 승가를 지향해야
초기불교 전문연구가 / 임승택 교수
마성스님
“한국불교 비구아닌 보살승가”
각묵스님
윤창화
“무자 화두, 왜? 몽산식 따르나?”
초기불교 선사상과 실천 / 호진스님
<3>
이치란 박사 인도 탐방 순례길에서
아쌈에서 인도 전국을 무소유로 다니는 힌두 승려와 함께 오른쪽 이치란 해동불교아카데미 원장.
전 세계 불교의 현장 낱낱이 살펴!!
신종교(불교)운동●불교를 배경으로 한 신종교단체 / 이치란 박사
창가학회, 입정교성회, 진여원 등 20세기 이후 일본에서 두드러지게 일어난 신종교현상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성원스님>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끝)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6)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5)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4)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3)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2)
미주 한국불교의 역사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1)
신종교(불교)-새시대를 향해
상가락쉬타 법사 인도학(Indology)⑤
상가락쉬타 불교학과 저술⑥
상가락쉬타 법통과 후계구도⑦
게쉬 켈상 갸쵸 / 아티사의 초상화
호법신장 도르제 슉덴 / 만주쉬리학원(대학)
신종교(불교) 카담파 전통①
신카담파 전통-국제 카담파 연합②
신카담파 창종주와 세계평화활동③
인도 달리트 불교운동①
힌두에서 불교로 개종선언②
달리트 불교 지도자 암베드까르 박사③
인도 카스트와 불교의 숙명④
간디와 타고르
마하트마 간디의 하리잔 운동과 카스트⑤
인도불교의 현재와 미래⑥(마지막회)
달리트 불교운동을 주도한 B.R.암베드까르(1891-1956)박사.-사진왼쪽
실론출신, 불교개혁 인도불교부흥 성지보호 공헌; 아나가리카 다르마팔라(1864–1933). 오른쪽
미래학불교학회 세미나 원고(2004. 5.21)
Ⅰ. 머리말 / Ⅱ. 일본 임제종 고오가쿠지에서의 선 수행
Ⅲ. 한국․미얀마에서의 위빠사나 수행
Ⅳ. 유럽 명상센터에서의 수행과 인터뷰 / Ⅴ.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