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ber-v1

과학과 불교의 만남

 

 

cyber-v2

불교사회교육-자료

상불경 / 경전강의

sns-net

cyber-v3

간추린 경전(발췌)

 

 

생활속의 반야심경

* 마하반야바라밀다심의 풀이

마하반야바라밀다와 체상용

------

2. 오온이 공임을 비추어 보라

설주 관자재보살

대본 반야심경의 서분 / 관자재

무아의 삶을 사는 이가 보살

보살은 자리이타를 실천하는 이

보살의 상구보리

sns-net -그긴 빌췌된 sns-net 글 살펴보기(1) / 위 반야심경 분류제목은 계속해서 발췌해 나감

 

상불경 논지

유식학(唯識學) 강의 1  / 유식학(唯識學) 강의 2 / 유식학 강의 3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유식학 강의 4 (신통력을 얻기 위해서는 어찌 해야하는가?)

금강경 강의 1 / 금강경 강의 2 / 금강경 강의 3 / 범망경(梵網經) 강의 / 무량의경(無量義經) 강의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 (佛說觀普賢菩薩行法經) 강의 1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불교의 이해와 실천] 비판

12연기

윤회와 무아

* 깨침과 닦음과 인가에 대하여

* 색즉시공 공즉시색에 대한 오해

* 기억을 뒤지지 않는 삶

의식(意識)(마음)에는 세 가지가 있다(이순철)  

마음명상 facebook 글 선별해 한곳에 담아논 글 보기(크릭!!)

수행으로 뇌도 바꿀 수 있을까? / 사물에 지능(知能)을 부여하면 세상이 어떻게 변할까?

칠각지 / 마음은 없다 / 진공과 묘유

괴로움은 스스로가 만드는 것입니까?

무정 물이 무정 설법을 한다하신다

자유의지 /  열반?

사리불과 수보리의 대론

여래의 결정법 사제 / 死後世界

<Lecture>1

<Lecture>2

<Lecture>3

<Lecture>4

저자 김현준

마하(摩訶) / 반야(般若)

바라밀다(波羅密多)

생활 속의 반야심경

1. 반야심경을 공부하기 전에..

리글

* 내 마음은 부처님의 마하심

반야심경을 설한 까닭

반야심경의 격과 유통과 영험

* 마하반야바라밀다심의 풀이

마티유 리카르

불교와 과학이 만나는 변경으로의 여행

<손바닥 안의 우주>

과학과 불교가 서로 대화를 나눌 이유가 있는가?

교차로에서
과학과 불교가 서로 대화를 나눌 이유가 있는가? 이를 알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의 지식이 각기 추구하는 목적을 정의해야 하며, 또 불교가 의미 있는 방식으로, 특히 과학이 공백으로 남겨 둔 윤리, 인격적인 변화, 우리 자신에 대한 지식, 진정한 정신적 통찰력의 분야에서 과학을 보완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트린 주안 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