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ead

 

*****

<3>

*****

 

 

SNS News & Buddhist Forum

(*)


20년10월~20년11월

(제8호)

mediaJournal - buddhaRoad

다시 돈오(頓悟)와 점수(漸修)에 대하여

    김영식

다시 돈오(頓悟)와 점수(漸修)에 대하여1

 

 

 

 

 

돈오점수에 대한 개념이 등장한 것은 중국 당나라 불교인 선종 때였습니다. 과학이 발달하지 못하여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구분 개념이 없었던 시대였지만 작용이 서로 다른 것을 이해했던 선지식들이 그 두 가지를 구분하여 돈오와 점수로 나누고 다르게 대응하도록 설명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돈오는 의식의 전환이고 점수는 무의식의 전환입니다.

돈오는 가치관이 전환되는 현상이므로 생각의 일입니다. 생각을 쓰지 않는다면 돈오는 무의미하므로 결국 생각의 일이라는 것이지, 생각만의 일이라는 것이 아닙니다. 돈오는 무념이나 무아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 돈오의 내용은 삶을 이끌어가는 주인공으로서의 주체가 없다는 것이지만, 돈오가 일어났음을 아는 기능으로서의 주체는 여전히 작동합니다. 그 기능적 주체의 자아관과 세계관이 뒤집어지는 것이니 이를 돈오라고 개념화한 것입니다.

깨달음()''와 세계가 망상임을 확실하게 체득하는 것입니다. 이 모든 세계가 생각이 펼치는 꿈 또는 망상이라고 알게 되었음에도 허무하기는커녕 오히려 더욱 안도가 되는 현상입니다. 만약 세계의 망상성에 대한 이해로 인하여 허무감이나 좌절감을 느낀다면, 안도감이 동반하지 못한 철학적인 정보의 추가일 뿐입니다. 이를 알음알이라고 합니다. 논리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경험으로 알게 되는(대응하게 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체득이라고 합니다.

현상계가 망상임을 체득했다는 것을 달리 설명해보겠습니다. 지금까지는 ''만이 ''의 전부인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나 없음'''와 다르지 않음을 안도감을 통하여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안도감은 ''에게 소유되지 않으며 ''의 속성도 아닙니다. ''와 무관하게 이미 가득한 그 안도감은 미지의 작용입니다. 미지는 ''와 생각의 바깥이며 배경입니다. 미지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지만 그 작용이 남습니다. 마치 블랙홀을 직접 확인할 방법은 없지만 그 주변에서 빛과 중력이 왜곡되는 현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미지가 현상계에 남기는 작용이 안도감입니다. 왜 그런지는 생각을 잠깐 멈추는 훈련을 반복해보면 누구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짠맛을 일상어로 설명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요즘은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타이프라이터에 검은색 종이를 끼운 뒤에 검은색 먹끈을 사용하여 문장을 쓰면 무슨 내용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검은색 종이 대신 흰색 종이를 사용해야 비로소 종이에 새겨진 글씨들이 드러나서 타이핑된 문장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백지는 단어나 문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백지 때문에 문장의 소통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미지는 이 백지와 같이 현상계에 작용을 합니다. 글씨로 드러난 내용들은 여러 가지 경험과 감정을 일으키지만 그 바탕인 하얀 종이는 그런 소란과 무관하게 글씨가 드러나게 하면서 스스로는 늘 여여한 것이 안도감과 같습니다.

돈오(頓悟)의 사전적 의미는 '갑자기 깨달음. 별안간 깨달음'이라고 되어 있으나, ()을 네이버 한자 사전에서 찾아보니, "1. 조아리다 2. 넘어지다 3. 꺾이다 4. 머무르다 5. 패하다(--) 6. 무너지다 7. 가지런히 하다 8. 숙사 9. 끼니 10. 갑자기"의 뜻을 표현합니다. 가장 마지막에 있는 '갑자기'의 뜻이 돈오에 적용된 것이지만 '꺽이다, 가지런히 하다' 등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갑작스러운 깨달음이라기보다는 깨달음의 반복되는 경험에 의식이 조율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가 이 글의 내용 중 일부입니다.

깨달음()이 인과 없이 문득 일어날 가능성도 있지만 생각의 이해가 동반하지 않은 갑작스러운 깨달음은 해프닝으로 그칠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한 깨달음은 잠을 자려고 노력할 수는 있지만 잠이 스스로 덮쳐와야 잘 수 있는 것과 같아서 노력의 직접적인 결과는 아닙니다. 깨달음은 내 모든 노력이 완전히 그쳤을 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렇다 할지라도 바르게 깨달음이 형성되는 일련의 과정은 노력 없이 저절로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깨달음 자체는 인과와 무관하지만 깨달음을 추구하는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 노력의 과정은 지금까지 보유했던 가치관을 역류하기 때문입니다.

깨달음()은 세계관이 뒤집어지는 것인데, 이런 의식의 전환이 벼락같이 오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그것은 어떤 과정을 꾸준히 거친 결과입니다.

다른 페이지로 가기(4면)

<오른쪽 로고 크릭!! web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