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그렇지만 황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그려낸 화가를 탓하며 만약 안 본 것도 그릴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젯밤 황제 자신이 꿈에 본 것을 그려보라고 억지를 부립니다. 화가는 십일면관세음보살님을 그립니다. 황제는 이것이 바로 꿈에 본 부처님이라면서 화가를 풀어 줍니다. 화가는 신라로 돌아와서 중생사에 십일면관세음보살님을 조성합니다. 그 이후로 이 관세음보살님은 영험이 많아서 기도 끝에 아들을 얻은 사람도 많고 복 받은 사람, 소원 성취한 사람도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고 합니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관음신앙의 영험담은 아이가 눈이 어두웠을 때 현실적으로 조화시키고 피난을 만났을 때 아이를 보호하는 등 현실을 구제하는 대비관음의 위신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
결국 도를 닦는다는 것은 마음을 바꾼다는 것임을 모두가 알아야 합니다.
황제는 ‘인물은 그대로 그렸는데 배꼽 밑에 그려진 사마귀는 어떻게 그렸을까? 이상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네가 여인의 얼굴은 그릴 수 있다지만 몸 속에 있는 사마귀는 어찌 그릴 수 있었느냐?”며 호통을 쳤습니다. 화가는 자초지종을 설명했지만 황제는 믿지 않고 그를 감옥에 가두었습니다. 대신들은 황제에게 화가는 어질고 정직하니 의심하지 말고 풀어 줄 것을 간청합니다. 그렇지만 황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그려낸 화가를 탓하며 만약 안 본 것도 그릴 수 있는 사람이라면 어젯밤 황제 자신이 꿈에 본 것을 그려보라고 억지를 부립니다. 그러면 풀어 주겠다는 말이죠. 화가는 할 수 없이 십일면관세음보살님을 그립니다. 황제는 이것이 바로 꿈에 본 부처님이라면서 화가를 풀어 줍니다. 화가는 신라로 돌아와서 중생사에 십일면관세음보살님을 조성합니다. 그 이후로 이 관세음보살님은 영험이 많아서 기도 끝에 아들을 얻은 사람도 많고 복 받은 사람, 소원 성취한 사람도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 한 예로 견훤이 포석정을 공격해 난리가 났을 때의 일입니다. 최을함이란 사람이 기도를 해서 아들을 얻었는데 석달밖에 안 된 아이를 피난길에 데리고 갈 수 없었어요. 할 수 없이 관세음보살님 탁자 밑에 숨겨 놓고 아버지 최을함은 한 달 이상 피난갔다가 돌아옵니다. 와서 보니 아이는 젖 냄새를 그대로 풍기며 살아 있었습니다. 볼에는 젖 먹은 흔적이 묻어 있고 방실방실 웃고 있었던 거죠. 또 한 번은 절에 양식이 떨어졌어요. 절을 지키는 스님들은 다른 절로 옮겨가야겠다고 마음먹고 있었죠. 그때 주지 스님의 꿈에 관세음보살님이 나타나서는 조금만 기다리고 있으라는 겁니다. 며칠 후에 스님 몇 분이 김해에서 찾아왔습니다. 왜 오셨냐고 물었더니 이곳 스님이 김해로 오셔서 화주를 나와 지금 소금하고 쌀을 소에다 싣고 왔노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중생사에서는 한 명의 스님도 밖으로 나간 일이 없었기에 그런 일이 없다고 했죠. 그랬더니 무슨 소리냐며 조금 전까지 분명 이곳 스님들이 길을 인도해서 왔다는 겁니다. 그리고는 법당문을 열더니 관세음보살님 저 분이 우리를 인도하신 분이라는 겁니다. 그 이후로 김해 지방에서는 매년 양식을 중생사로 보내줬다고 합니다. 이처럼 『삼국유사』에 나오는 관음신앙의 영험담은 아이가 눈이 어두웠을 때 현실적으로 조화시키고 피난을 만났을 때 아이를 보호하는 등 현실을 구제하는 대비관음의 위신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유명한 설악산의 오세암 같은 경우도 오세 동자가 관세음보살님의 자비력으로 겨울삼동에 아무 탈없이 살았다 해서 오세암이지 않습니까? 현실을 조화시키는 위신력이 바로 관음신앙의 영험입니다. 그러나 관음신앙은 현실적인 조화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동해 낙산사 조신 스님의 이야기를 들어보시겠습니까? 조신 스님은 농장관리 소임을 맡고 있었는데 하루는 그 지방 원에 사는 따님을 보고 마음에 병이 들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