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비록 불교를 내세우지는 않아도 그들 내면의 情緖는 불교적 체취를 지니고 있습니다. 日常의 질곡을 거치면서 불교는 다소 위축되는 듯한 위기를 맞은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60년대 이후 불교현대화의 기치를 내걸고 활발한 포교활동을 재개하였습니다. 그 결과 출가수행승들의 청정성확립, 재가불자들의 지성화 경향 등이 두드러졌으며, 명실공히 한국 최대의 종교로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저는 북한의 불교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지 못하지만 북한의 절이나 스님들에 대해서는 들은 바가 있습니다. 또 대장경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등 불교학의 연구도 상당한 수준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해마다 5백종이 넘는 불교관계 도서들을 간행하고 있습니다.
학자들의 불교학 연구도 다양해서 불교교리연구, 불교사연구, 비교종교 등의 다방면으로 중요한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오늘 이 자리에서 어떻게 하면 남북의 불교교류를 원만히 추진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해야 하리라고 봅니다.
상호 교환방문을 통한 공동법회 주최라든지, 불교유적지 발굴에 양측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안, 또는 공동의 관심사를 논의하는 세미나 개최 등,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류논의가 있어야 할 줄 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