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미국 장로교 한인교회협의회가 1991년 6월 초, 북측의 한시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을 초청하며 첫 인연으로 연결됐다.
북조선 미국방문단은 단장 한시해를 비롯한 로철수 영접부 참사, 김구식 사회과학원 통일문제연구소장, 박승덕 주체사상연구소장, 고기준 조선기독교련맹 서기장, 리성봉 평양 봉수교회 목사,
최옥희 평양 신학원 전도사, 김혜옥 통역원 등 8명이 방문을 했다.
이때 김도안 LA 관음사 주지 초청으로 그해 6월 19일 관음사 육화당에서 ‘북부조국 미국방문단 환영 간담회’가 열렸다. 재미불교도의 통일 의지와 종교 간의 대화를 제안하면서 북측의
한시해 단장으로부터
“(초청하면) 조불련 대표단이 미국방문을 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확약을 받은 일과 대화의 창구까지 생겨났다고 한다.
이것은 1993년 9월 10일 미국 LA에서 열린<제14차 민족통일 심포지움>의 ‘한국불교계 통일운동과 전망’이란 신법타의 주제발표로 소개됐다.
이처럼 첫 만남의 기별은 1989년 7월 1일~8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된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平壤祝典)’이 도화선이 됐다.
‘통일의 꽃’으로 불린 임수경 전대협 대표의 방북으로 화제가 된 평양축전에는 177개 국가에서 22,000명이 참가했다. 조국통일북미주협회에서도 미주대표단과 참관단을 평양축전에 파견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