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님은 86년부터 95년까지 미국불교협회 공동의장을 역임했고, 몇차례 불교사원연합회 회장을 맡으면서 한국불교가 미국에 뿌리내리는데 앞장섰다.

타종교 지도자들과 함께 북한식량돕기에 나서는 등 각종활동에도 적극 참여하면서 커뮤니티와 함께 호흡하는 불교전파에 힘을 기울였고, 종교평화협회를 창설하여 미주지역 타종교의 지대한 동참세력과 함께 역량을 키워 나갈 기초를 세우기도 했다.

지난 2002년 12월 대장암 초기 수술 끝에 재활에 성공했던 스님은 작년(2005년)에 북한 사찰순례를 마친 후, 3월경 암종양이 간으로 전이되어, 식이요법 치료를 해오면서 건강을 회복하는 듯 하였으나, 끝내 간에 종양이 커져 관음사 주지 방에서 가료를 해오던 중, 결국 8월 28일 오후 6시 6분 굳사마리탄 병원에서 임종하셨다.

그간 간병 해온 친동생 김안수 포교사는 "스님은 8월 28일 오후 5시 30분 의식이 분명한 가운데 서울의 도문스님으로부터 전화 목소리로 열반송 법문을 들으면서, 관음사 임직 재가불자 6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6시 6분 임종을 보이셨다"고 전했다.  
그에 따르면, 도안스님은 관음사 재단은 재가신도 중심으로 계속 유지발전을 기약하셨고, 승단은 오직 조계종단의 종지와 승풍을 이어 받는 미국에서 반듯한 조계종 가람의 터전이 세워질 수 있도록, 언제나 재가신도는 승단의 외호세력으로 성장해 나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우리신문 박애영 종교담당 기자 >


다섯째가름(큰스님 가시는 길....)

(297)

*

 

Korea Daily(중앙일보) August 30, 2006 Section-A

관음사 조문객 줄이어

29일 도안스님의 분향소가 마련된 관음사에서 조문객들이 고인의 영정앞에서 애도하고 있다. (중앙일보 임상범 기자)

 

도안스님 장례식 - 남가주 사원연합회장으로

도안스님의 장례식이 남가주사원연합회장으로 치뤄진다. 남가주사원연합회(회장 현철스님) 회원 및 관음사 신도회 임원진 등 20여명은 29일 관음사 대강당에서 임시 회의를 열고 입관식은 오는 1일 오후 7시 한국장의사에서, 영결식은 2일 오전 10시 관음사에서 진행키로 했다. 또 장례위원장에는 남가주사원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반야사 주지 현철스님을, 집행위원장은 이철우 관음사 전 신도회 회장을 각각 선정했다.

○○○○○○


(298)

다섯째가름(큰스님 가시는 길....)

 

 



 

 

 

*

 

현철스님은 "정신적인 기둥역할을 하신 도안스님 입적은 LA한인 불교계의 커다란 손실"이며 "미주 한인사회의 불교계 발전에 남은 이들의 어깨가 무겁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관음사를 방문한 양현승 목사(미주종교평화협의회)도 "몇일 전 방문했을 때만 해도 맑은 정신으로 대화를 주고받고 '만세'까지 외치셨다"며 착찹한 표정을 지었다. 양 목사는 "종교를 떠나 도안스님은 * 한인사회와 민족을 위해 봉사헌신하신 분"이라며, "그분의 뜻이 이어질 수 있도록 종교계가 한마음으로 동참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관음사는 29일 오전부터 도안스님의 입적소식을 듣고 찾아오는 신도들과 조문객 행렬이 이어졌다.
김목응(72) 신도회 회장은 "지난 30여년간 공양주 없이 직접 식사를 준비하며 근검절약하는 모습을 보여준 진짜 스님이었다"며, "좀더 남아 일하실 수 있었는데..."라며 안타까워했다.

<중앙일보 장연화 기자>

탑돌이를 하시던 생전의 도안스님


다섯째가름(큰스님 가시는 길....)

(299)

*

 

30년 포교 헌신... 북한지원 앞장

미주불교 산 증인··방북 15차례, 국수공장 설립 등

28일 입적한 도안 스님은 LA한인사회에 불교를 뿌리내린 개척자였다. 특히 불교계를 한인 커뮤니티는 물론 다른 종교계와 잇는 다리역할에 앞장서 왔다.

그가 조실로 주석했던 관음사는 올해 개원 32주년으로 한인들에게 불교문화를 제도하는 사찰로 우뚝 섰다.

지난 75년 LA에 온 후 선방 및 도서관을 세우고 동산불교대학(현 로메리카 불교대학)을 설립해 젊은 불교학도를 양성하는데 주력한 고인은 한미불교봉사회를 만들어 노인들을 위한 영어교육과 사회보장 세미나 등 저소득층 이민자를 지원하는 다각적인 프로그램을 열어 한국불교가 이민 생활 속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신도들에게 항상 공동체의식을 갖고 살아갈 것을 강조했던 고인은 그의 생활부터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창기 사찰 구입 기금이 부족하자 작업복을 갈아입고 낮에는 주유소에서 밤에는 청소를 다니며 사찰구입비 마련에 동참했던 일화는 지금도 신도들 사이에서 유명하다.

고인의 공동체의식은 이뿐만 아니다. 미주종교평화협의회를 창설해 이승만 전 미국장로교 총회장과 박창덕 신부와 함께 공동 대표를 맡으며 종교간의 화합 무드를 마련했다.

○○○○○○


(300)

다섯째가름(큰스님 가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