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는 과정에서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라는 사상은 우리에게 용공과 반공, 승공의 이념 대립의 갈등은 정치권과 민중의 첨예한 대립으로 사회혼란의 주범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때로는 사실과 관계없이 정치권자의 정치 야망을 이루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밀실에서 꾸며지기도 하였고, 용공분자를 색출 하는 것이 우리의
살길로 알아 반공을 부르짖고 승공을 위하여 힘을 합하기도 하였다.
승공만이 한반도의 우리 민족이 살길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승공사상으로 평화를 이루었는가?
2. 분단체제와 화공(和共) 오늘날 한반도의 분단체제는 남과 북, 어느 곳도 평화롭고 행복한 삶이 아님은 틀림없다.
이는 남과 북이 나누인 분단체제로 굳건히 유지되던 상황에 맞춘 체제운영 및 발전 모형이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된데 따른, 한층 본질적인 위기라는 것이다.
북쪽에는 주민들 의식주 생활을 살피는 과제부터, 남쪽에는 고도의 경제성장이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실업과 도산, 범죄가 급증하는 등 사회문제가 복잡한 상황으로 변하고 있음에서 알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지금까지와 다른 방법으로 분단체제를 극복하여 한반도 전체가 함께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기 위한 문제
해결을 하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