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에 비해 우호적으로 대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남북한 주민간의 이질감을 해소하고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한통합을 위한 종교교류 협력의 재도화 방안, 통일연구원 p.89)
남북한 간의 종교교류는 교류가 활발한 만큼 몇가지 문제점은
첫째, 남북간의 종교 교류가 지나치게 통일 논의 위주의 교류에 국한되고 있다는 점과 종교교류가 다양한 종교단체들에 의해 여러 통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종교단체들 간의 소모적인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다원주의 민주사회에서 종교현실도 다원화되어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대북선교의 교두보를 구축하려는 의욕이 지나쳐 가시적 성과에 집착하는
교파주의적 분열상도 나타나고 있다.
셋째, 남북 종교교류는 상호 교류가 아니라 남한측이 일방적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지원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넷째, 남북 종교교류는 인도주의적 차원의 대북지원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상동 p.90)
남한에는 여러 종파와 교파가 있고 국가적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북한은 일원화되고 북한인민과 사회에 영향력이 거의 없는 북한 종교 세력의
신장을 위해 남한의 종교인들은 북한 종교계와 교류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