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② 임진강 공동수해방지 사업 남측은 임진강공동수해방지 사업을 북측에 촉구하여 2000년 9월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임진강 공동수해 방지사업에 합의를 하였으며 2001년 2월에 평양에서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협의가 개최되어 임진강 유역에 대한 남북공동조사연구단 구성과 조사대상, 조사방법 등에 대해 상당한 의견접근을 하였다고 한다.
앞으로 공동조사 결과에 따라 임진강 주변지역의 강수량, 하천수위 등 수방대책을
위한 정보교환과 홍수 예보체계의 구축, 하천정비 제방축조 사업 등이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임진각 수해방지 사업은 남북이 함께 하는치수사업으로서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에 기여할 뿐 아니라 남북이 함께 잘사는 터전을 만드는데 의미가 있다고 본다.
○○○○○○
한편, 최근에 북한의 금강산댐(임남댐) 안전문제가 제기되면서 임진강 뿐만 아니라 북한강 유역에 대한 공동대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③ 경협관련 4개 합의서 채택 남북경협의 법적 제도적 장치마련을 위해 남과 북은 남북경협 실무접촉에서 투자보장, 이중과세 방지, 청산결제, 상사분쟁 해결 등 4개 경협 합의서(2000. 11. 11)를 채택하여 남북 경제교류 협력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 되었으나 아직까지 발효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
|
|
*
④ 남북간 인적 왕래 및 물적 교류의 급증 남북정상 회담 이후 지난 2년간(2000. 6 ~ 2002. 4) 남북한 인적왕래가 급증, 금강산 관광객을 제외하고도 17,838명이 남북을 왕래하였고 89년부터 2002년 4월까지 13년간 총 왕래인원은 북한 방문이 30,248명 남한 방문 1,534명이며 그 중 지난 2년 동안의 왕래인원이 56%를 차지하고 있다.
남북의 교역액은 2000년, 2001년도에 각각 4억 달러를 기록함으로써 1999년의 3억
달러 대비 무려 25%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탁가공 교역액도 2000년도에 1억 3천만 달러 2001년도에 1억 2천 5백만 달러에 이르며 1999년의 1억 달러 대비 25 ~ 30%의 증가 추세에 있으며 위탁가공에 참여하는 업체와 품목도 남북 정상회담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3) 언론, 문화, 종교 분야 등의 교류 남북 정상 회담에서 사회, 문화, 체육, 보건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 활성화를 합의한 이래 다양한 교류가 이루어졌다.
○○○○○○
언론 분야에는 2000년에 언론 사장단 방북(8월), KBS의 백두산 현지 생방송(9월), SBS의 평양 현지 생방송(10월)이 각각 이루어졌으며 2001년에는 MBC의 방북 취재 및 현지 생방송(3월), 스웨덴 페르손 총리 방북시 남측 기자단 동행취재(5월), 정상회담 1주년에 즈음한 KBS의 방북취재(5월 ~ 6월)가 각각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
|
|
*
문화 분야에서는 2000년에 남북교향악단 서울합동연주회가 열렸으며(8월), 영화[공동경비구역JSA]필름을 북측에 전달하였고 2001년에 남측 창극단 [춘향전]이 평양에서 공연(2월)되고 대중가수 김연자가 함흥에서 공연(4월)을 하였으며 이영희의 민족 옷 전시회와 패션쇼(6월)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또한 동해대학과 조선기자 동맹은 남북 공동사진전 [백두에서 한라까지]를 서울과 평양에서 2001년 6월 8일에 각각 개최한바 있다.
종교분야에서는 2000년에 부활절 남북 연합예배, 남북 불교도 8.15 동시법회 행사와 2001년은 부처님오신날 남북 동시법회 행사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한편, 2001년 5월 노동절 행사에 6.15민족통일 대 토론회, 7월 남북농민통일대회, 8.15기념행사 등이 민간차원에서 남북 공동으로 개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민간차원의 남북 공동행사에 대규모 기자단이 동행 취재한 것은 과거와 달라진 모습으로 보여지고 있다 하겠다. 이와 같은 사회, 문화 분야의 교류협력은 남북주민간의 상호이해의 폭을 넓히고 민족 동질성을 회복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4) 시드니 올림픽 남북공동 입장과 체육 분야 교류 2000년 9월 시드니 올림픽에서 남북선수단은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KOREA라는 이름으로 공동입장을 하였으며 국내 체육 분야에서도 남북교류가 이루어져 2000년에는 금강산에서 자동차 경주대회(7월), 전국체전성화 채화(9월), 평양에서의 통일탁구경기대회(7월)가 성사 되었다.
|
|
|
|
*
2001년에는 남북 태권도 시범단 교환, 제46회 세계탁구선수권 대회 남북 단일팀 참가 등이 합의 되었으나 북한 측 소극적인 자세로 최종 단계에서 성사되지 못하였다.
(5) UN 등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2000년 7월 방콕에서 개최된 아시안 지역 안보포럼(ARF) 각료 회의를 계기로 남북 외무장관회담이 개최 되었으며 2000년 10월 제55차 UN총회에서 남북정상회담과 6.15남북공동선언을 환영하는 “한반도 평화와 안전 및 통일” 결의안이 만장일치로 채택되기도 하였고 2001년 4월 9일에는 UN 인권위원회에서 남북은 일본의 종군위안부 및 역사왜곡에 대하여 공동으로 항의하기도 하였다.
(6) 이산가족 고통해소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은 가장 기본적인 인도주의 실천인 동시에 남북한 화해협력의 상징적인 징표라 할 것이다.
남북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에 합의한 이후 네 차례에 걸친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을 통해 1차 1,170명 2차 1,220명 3차 1,240명 4차 850명 총 4,480명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하였다. 1차부터 3차까지는 서울과 평양에서 4차는 북측의 요청에 의하여 금강산에서 상봉이 이루어졌다. 방문단
교환과 생사 주소확인을 통해 총 10,213명이 생사 및 주소를 확인하였으며 총 662건의 서신교환이 이루어졌다고 전한다.
앞으로 북측이 서울-평양간 상봉 사업에 부담을 안고 있는 관계로 상설 면회소가 동해선 육로 지점 사이에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고 본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