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2000년도에는 남북한의 군사비는 96년보다 15%정도 증액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남북한 간의 경협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활성화 하자고 남북정상들이
합의하였다.
그러한 결정에 앞서 군비축소회담이 이루어져 국방예산을 절감한다면 민족경제부양은 물론 민생복지사업이 크게 회생되지 않겠는가?
민족공동체로의 공존공영을 위해서도 우리는 한반도에 평화정착이 이루어져야 하며, 과도한 군사비를 요하는 국방 정책의 전환도 검토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바) 남북한 화해협력을 위해서는 종교단체가 제각기 교세확장을 위한 선교차원보다는 민생복지를 위한 협력 대열에 서서 범 종교연합으로 남북화해사업에
적극 나서야 하겠다.
우리 대한민국 종교인 비율을 보면 불교가 37.4%, 개신교가 25.6%, 천주교가 4.8%, 유교가 17.5%, 천도교가 3.6%, 원불교가 3.2%, 기타 종교가6.8%이고, 비종교인
비율은 전 인구의 22.3%로 되어 있다.
이제 한국은 다종교사회로 전환되었다. 국가정책을 바꿀 수 있는 힘은 어느 한 종교에도 주어지지 않는다.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종교의 선택이나
종교적 신앙이 국가로부터 지배받지 않으며 정교분리가 보장되어 있는 사회이다. 이제 종교단체는 민족의 통일문제와 민생문제를 함께 걱정하고 남북의 화해운동에 함께 동참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