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의 이상이 무엇일까요? 저는 한마디로 "화합과 자비의 실현"이라고 생각합니다. 갈라지고 헤어진 상처를 아물게 하는 것이 불자들의 願力입니다. 화해를 위한 원리가 四攝이며 四無量이고 六和敬입니다.

어느 한쪽을 무시하는 정복자세가 아니라, 서로 존재당위를 인식하고 공존의 지혜를 키워나가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반면 그 화해의 실천은 "자비"로서 나타나집니다.

이웃에 대한 너그러운 마음씨, 보시를 생활화하는 폭넓은 인간방생이야말로 우리 불교의 지향점입니다.

극락은 결코 저 하늘나라의 먼 세계가 아닙니다. 이와같은 각오를 지닌 이들이 모여사는 곳, 착하고 바른 삶이 존경받는 사회야말로 우리들의 이상향입니다.

"유마경"에서 부처님이 가르치신대로 “心淨卽佛土淨” 마음이 맑은 즉 우리의 대지가 맑아지는 법입니다. 우리가 두려워 해야할 대상은 결코 이데올로기나 국가권력의 相異性에 있지 않습니다.

탐내고, 성내고, 어리석은 그 三者의 비뚤어진 마음씨들이야말로 우리가 調伏받아야 할 중생계의 병입니다.

친애하는 남북한 불교지도자 여러분!
이제 우리에게는 두가지 선택의 길이 열려 있습니다. 서로를 질시하고 반목하여 파멸의 길을 걷느냐, 아니면 서로 돕고 이해하며 화합의 새 질서를 펼쳐 나가느냐 하는 극단의 선택입니다.


(54)

둘째가름(기조연설-남 : 서의현)

*

 

우리 모두가 불조의 慧命을 잇는다는 긍지로서 오늘의 후손들 앞에서 떳떳한 "보살"로서 기억되기 위해서라도 자그마한 불편과 견해차이는 접어두어야 합니다.

말그대로 大乘的 원융성으로 이 만남을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승화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끝으로 이 모임을 주선하여 주신 미국 한국불자 여러분들, 특히 대원스님, 도안스님, 법타스님 등의 노고에 격려와 감사의 뜻을 표하는 바입니다.

다음번 회의는 우리 조국의 한 모퉁이에서 열려질 것을 확신하면서 거듭 회의의 원만한 회향을 기원하는 바입니다.

이 자리에 계신 남북한 불교지도자 여러분! 그리고 7천만 겨레의 앞날에 부처님의 크신 자비광명이 항상 함께 하시기를 두손모아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불기 2535년(1991) 10월 29일

한국불교종단협의회장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서의현 분향합장

 

○○○○○○

 

 

 


둘째가름(기조연설-남 : 서의현)

(55)

 

 



 

 

*

 

오늘 사부대중들이시여, 우리 모두 죽음을 준비하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왜냐면 한생의 생이 아니라 다음 생이 이어진다고 할때 어떻게 남은 생을 바르고 옳게 사느냐 하는 것이 미래의 생을 약속할 수가 있기 때문이라 하겠습니다.

제행은 무상이라, 나고 죽음이 이 모두 이 법 속에 있도다. 태어나고 죽는 것이 모두 멸해지면 비로소 열반의 즐거움을 가져오리.  
- 귀의 불타께, 귀의 달마께, 귀의 승가께, 과거의 보승여래시여, 마땅히 공양 받을 성인이시며 모든 것을 바르게 다 아는 성인이시며 밝은 지혜와 바른 행을 고루 갖추셨으며 거룩한 열반에 드셨으며 세상사 모든 일을 아시며 인간 중 가장 높으시며 스스로를 잘 다스리는 대장부이시며 하늘과 땅의 스승이신 불세존께 귀의하소서.

수많은 영가들이시여, 심신의 껍질을 벗어나사 밝은 심령이 오릇하야 부처님으로부터 무상의 깨끗한 계를 받으셨으니 기쁘고 기쁘지 않습니까?  
- 천당의 극락정토 마음 따라 왕생하소서. 그리고 환희롭고 환희롭게 이 게송을 들으소서.  
서쪽에서 조사오니 그 뜻이 당당해서 마음을 맑게 하니 성품이 고향일세. 오묘한 본체 해맑아 머무는 바 없을 새, 산하대지가 모든 것이 참 모습으로 보이네.

원멸 사생 육도 법계 유정 다겁생래 제업장 아금참회 개수례 원제 죄장 실소제 세세상행 보살도 원 이차공덕 보급어 일체 아등 여중생 당생 극락국 동견 무량수 개공 성불도.
성불하십시오. (*)

 


(74)

둘째가름(광복 55주년 기념-법어)

셋째 가름

남북 분단  평화 정착

학술 포럼 - 김 도 안

무엇을 살피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