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이켜 보건데 그간 남과 북 불교당국자들의 진지한 노력과, 그리고 교량역을 해온 기대원스님과 신법타스님 등의 헌신적인 노력에 힘입어 오늘 이러한 뜻깊은 자리가 마련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단절된 남북 불교교류를 돕기 위해 연초에 결성된 미주한불협에서 이러한 일을 준비하여 자리를 마련할 수 있게 됨은 바야흐로 시절인연이 도래했음이요, 불보살의 가피라 여깁니다.

그러나 오늘 이러한 뜻깊은 자리가 어려운 조국의 여건으로 말미암아 국내에서 열리지 못하고 태평양 건너 미주땅에서 열릴 수 밖에 없는 현실은 우리들 불교인에게 새삼 무거운 책임감을 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국토가 아무리 표면적으로는 철조망으로 가로막혀 분단되어 있더라도, 도도히 이어진 산맥과 면면히 흐르는 강물과도 같은 민족의 정기는 결코 나눠 놓을수 없는 것입니다.
하물며 분단된 민족을 하나되게 하려는 불교도의 불법에 동서가 어디이며 남북이 어디에 따로 있겠습니까?

불교의 원융-회통 정신으로써 나눠진 민족의 마음을 하나로 맺도록 우리 불교인들이 진지한 노력을 서슴없이 기울일 때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이번에 “한민족 불교지도자 연석회의”가 크나큰 성과를 거두어 불교사와 민족사에 전기를 이룰 수 있도록 부처님전에 간절히 기원드리면서 오늘연석회의 환영인사에 가름합니다.
감사합니다. / 1991년 10월 29일
한민족불교지도자 연석회의 환영사(김도안)
                                           ○○○○○○


(50)

둘째가름(대표자회의-환영사)

(남측)불은의 향기를

조국의 강토에

남북불교대표자회의 기조연설문  
(한국불교종단협의회 회장 서의현스님)

친애하는 조선불교도연맹의 박태호 원장님! 그리고 북한불교를 대표하여 이곳까지 왕림하여 주신 여러분들!  
오늘 우리는 남북한의 불교대표자로서 한자리에 앉았습니다. 분단의 아픈 상처가 조국의 산하를 갈라 놓은지 어언 40여년이 흘러갔습니다. 같은 핏줄, 비슷한 생김새 였으면서도 우리는 서로를 경원시해 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지척을 사이에 둔 채 오갈수도 없었습니다. 그 당시 강대국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우리는 통한의 아픈 세월을 지내야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세계의 기류는 변해가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가르쳐 주신 無常의 섭리는, 이제 더 이상 동과 서의 대립을 지속할 수 없게 하였습니다.

이제 세계는 "힘의 倫理"가 아니라 화해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질서세계를 수립해 가고 있습니다. 최근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정치적 변혁, 그리고 동서독의 통일 등은 우리들에게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고 봅니다.

핏줄을 나눈 형제, 더구나 부처님의 크신 은혜 안에서 공존하는 이 자리의 우리들에게 무슨 걸림돌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우리는 겸허하고 진지하게 남북불교의 교류를 논의해야 합니다. 佛子로서의 동질성을 확인하고, 그 공감대를 확산시킴으로써 통일을 향한 민족적 여망에 부응해야 하리라고 생각합니다.  


둘째가름(기조연설-남 : 서의현)

(51)

 

 



 

 

*

 

극락과 지옥이 본래 없는 것이오나 중생들은 스스로 짓고 받는 인과의 법칙을 깨닫지 못하와 험악한 악몽에 사로잡혀 갈 길을 몰라 헤맸나이다.

고뇌의 업보에 무거운 짐을 벗고 희망에 가득 찬 구원에 밝은 빛을 찾아 슬기로운 부처님 품안으로 돌아 가옵나니 감응하여 주옵소서.  
부처님 우리들은 언제나 부처님을 믿는 마음이 변하지 않고 어서 자라서 부처님에 큰 일꾼이 되게 하소서.

오늘 이와 같이 백중 천도법회를 거행하는 것은 우리 선조들의 영령들을 이고득락케 하여 영세불멸토록 우리 조국땅을 지켜주십사 하는 기원이 담겨있으며 해외 600만 우리 동포들의 가정에도 선조들의 보살핌을 내려달라는 우리 모두의 기원도 담겨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얼마나 민족의 수난의 역사를 살아 왔습니까?  
또한 오늘은 우리나라가 일제 36년간 식민통치에서 해방을 맞이한 지 55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오늘 8월15일을 2일 앞두고 일요일인 백중제를 맞아 함께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대법회를 봉행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불자님들이 아시다시피 우리 민족이 5천년 역사를 가지고 하나의 민족으로서 이 땅을 지켜 오는 것은 우리 선조들의 우국충정과 민족을 사랑하는 애국심이 있었기 때문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우리 한반도에는 1,000회에 걸쳐 외세의 침범이 있었고 그로 인한 인명과 재산을 노략질 당하는 슬픈 역사를 경험하였습니다.  


(70)

둘째가름(광복 55주년 기념-법어)

*

 

일본이 대동아 전쟁에서 패전함으로써 우리 민족은 36년간 식민지 국가로부터 영구 독립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세우지 못한 채 좌우익대결은 급기야는 강대국의 입지에 의하여 38선을 사이로 분단 점령을 당하고 미소양군은 군정통치를 하게 된 것입니다.  
지금 말씀드린 바와 같이 1945년 8월 15일은 해방을 하였다고는 하나 통일된 광복은 성취를 못한 채, 55년을 분단 민족으로 동족간에 피 비린내 나는 전쟁과 살상으로 수많은 생명을 앗아갔습니다.

6.25전쟁은 유엔군과 한국군이 총 18만명이 사망하였으며 북한군은 52만명이라는 인민군대가 사망하였습니다.  
중공군은 90만명이 떼죽음을 당하였으며 남북의 민간인 99만명이 전쟁의 희생물이 되었습니다.  
거기에다가 남쪽에서 85,000명이 북으로 끌려갔으며 북한에서 남쪽으로는 300만 동포의 대이동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남과 북은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전쟁의 전범이 누구인지 그 배경은 어디로부터 왔는지, 그 참혹한 결과는 선조 선배들의 파벌과 분열의 소산이 아닌지 판가름하지 못한 채 2000년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남북의 정상들은 6.15를 기하여 화해와 협력, 민족 대단결이라는 기치 하에 4개항을 합의하고 민족공동체의 협력과 평화공존으로 정치권과 경제 문화분야까지 활발한 교류와 실천사항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 이제 우리 불자들은 민족의 장래를 위하여 두 정상들이 서로 합의한 4개항이 실천되어 갈 수 있도록 국민 총화를 다지는 민족 화합과 단결을 위한 대열에 앞장서야 하겠습니다.


둘째가름(광복 55주년 기념-법어)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