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이들 6대 종교를 별칭하여 ‘지역종교’의 반대개념인 ‘세계종교’라고 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한국에서 근간에 조사된 종교별 교세비율을 보면, 불교가 37.4% 개신교가 25.6% 천주교는 4.8% 유교가 17.5% 천도교가 3.6% 원불교가 3.2% 기타종교가
6.8% 비종교 인구 22.3%로 되어 있습니다.
자 새 천년을 설계하는 이 시점에서 본인은 오늘의 주제와 연관하여, “더 이상 숫자와 종교의 양적 팽창에 신경 쓰지 말자” 는 말로서 본론을 시작하려고합니다.
새 천년에는 질 높은 종교가 가장 큰 힘을 발휘하리라는 것은 많은 종교학자들이 주장해 오고 있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예측이 가능하겠지요. 그러면 질 높은 종교, 질 높은 불교란 무엇일까요?
먼저, 저희 불교의 허물을 먼저 고백해 보겠습니다.
앞의 수치상으로도 한국에서는 10명 중 4명이 불교신자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본인도 한국불교가 충분한 기반이 있다고 생각하여 25년 전에 안심하고 국제포교를 위하여 도미하였는데,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작년에 조계종 교권분쟁이 발생하여 참으로 안타까운 심정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이같이 교세가 높다고 하는 한국불교는 사상 유래 없는 교권분쟁으로 그 실추가 이루 말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계 여론의 결정적인 타격을 초래 하였습니다. 많은 언론들이 ‘물욕에 어두운 스님들의 반란’을 주제로 보도 하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