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두언

 

본인은 동국대학교 교수로 15년간 근무한 바 있다. 유신정권때 해직교수로 30년간 미국생활을 하다가 노무현 정권때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교단에 다시 설 수 없는 나이가 되어 이곳 UCLA에서 22년간 연구교수를 거쳐 퇴직한 후 현재 집필생활에 전념하고 있다.

미국에 와서 두 큰스님을 만나서 조국의 민주화 통일운동을 같이 하게 되었다. 한분은 본인과 공동으로 집필활동을 하신 현재 한국에 계시는 법타스님이고, 다른 한분은 이곳 LA에서 관음사 주지스님으로 봉사하시면서 본인과 같이 해외로 다니면서 조국의 민주화 통일운동을 같이 하셨던 도안스님으로 이제는 입적하시어 볼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비엔나, 자카르타에서 해외 세미나 당시에는 같은 방에서 숙식을 같이 하며 조국의 통일을 염원하는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한국인권문제연구소, 한반도 연구회에서 같이 활동하셨던 도안스님이 보고싶고 그립다. 도안 큰스님이 남긴 원고를 김안수 법사님이 모아서 회고집을 만드는 데 권두언을 쓰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

도안스님은 늘 외치셨다.
"누가 우리민족 분단을 방치하는가? 조국통일을 이루어 진정한 세계평화로 가는 길에 나서자"
남북정상회담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이루어지고 북미정상회담도 성사되었으나 북한의 핵문제로 엉킨 실타래를 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2022년 8월, 감수자 차종환(박사)   
수상 / 95년 국무총리 표창, 05년 국민훈장 목련장 |


(8)

권두언

통일을 위한

서 사 시

누가 이 민족의  분단을 방치 하는가?

조국 통일 이루어 진정한 세계 평화로 가는 길에 나서자!

한반도 평화구축은 인류와 세계 평화의 바로미터가 된다.

지구촌이 하나되어 있는 오늘의 시대에 조화를 이루려고,

급변하는 자리매김에, 이제 우리의 차세대인 젊은이들이

세계의 미래를 바르게 열어가야, ....

 

*

만남은 마음의 문을 여는 열쇠라 하지 않는가

백두산과 한라산에서 흐르는 물은 동해바다에서 만나고
압록강과 한강에서 흐르는 물은 서해에서 만나고 있지 아니한가

무엇이 두려워 만남을 포기하는가
만나야만 한다
만나야만 한다
그 많은 세월 55년간을 기다렸는데
또다시 기다려야 하는가

혈기 왕성하고 패기만만한 그 좋은 젊은 시절을 다 보내고
이제는 피골이 상접한 초췌한 노인의 몸이 되어 지친 몸을 가누지 못하지만
날이면 날마다 달이면 달마다 만나고 싶었건만
그 오랜 세월 참아 왔지 않은가


통일을 위한 서사시

(5)

 

 



 

 

*

99년 8월, 평양 대정산 광법사 참배기념

 

2005년 북한 방문 순례단 광법사 합동기념사진


(28)

첫째가름(만남의 자리-북녘땅에서)

*

95년 광복50주년 북한 통일축전 참석

평양에서 박창득 신부, 이승만 윤길상 목사외 종교지도자

95년 8월 통일축전 행사장에서-여운영선생 딸 여연구

조불연 심상련 서기장과 함께(중앙 도안스님)

98년 3월, 북경에서 남북 해외불교실무자 회담 모습


첫째가름(만남의 자리-이모저모)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