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9월에 열린 부산 아시아경기대회에는 남북의 선수단이 함께 입장하였으며, 북측 응원단도 우리 국민들과 함께 함으로써 전 세계에 민족화합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5년 동안, 50만명이 넘는 금강산 관광객을 제외하고도 4만여명의 남북 주민이 서로 오고 갔으며, 남북교역액도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와 병행하여 군사적 신뢰구축과 긴장완화를 위한 노력도 진행되었다. 남북 군사당국자간 회담이 개최되었고, 남북 경협사업을 위해 비무장지대의 일부구간에서철조망과
지뢰가 제거되었으며, 군사실무자간 직통전화가 설치되는 등 초보적이나마 군사적 신뢰구축 조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평화공존과 화해협력의 길이 항상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1999년과 2002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서해교전은 한반도 평화정착의 어려움과 중요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2001년 미국 내 9.11테러사건과 대테러전쟁 등으로 조성된 국제정세 또한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02년 말에 대두된
북한의 핵문제는 한반도 정세를 긴장시키고있다. (2003 통일백서발간사 일부인용. 통일원)
2. 남북간의 화해협력을 통한 평화정착 통일은 과거로 회귀하거나 단순히 체제나 영토를 통합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자유와 인권 등 인류의 보편가치가 구현되는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이루어가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