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고 돌아왔으며 국수 공장과 빵 공장을 평양근교에 설립하여 식량 지원에서 큰 몫을 하고 있다.
불교는 1600년의 역사속에 민족문화보존이라는 북한의 문화정책에 의하여 국가가 6.25 전란으로 폐허화된 사찰유적을 약 60여개 복원하였으며 전국적으로
300여명의 승려가 문화재 사찰을 현장에서 관리하고 있다.
북한은 비동맹 아시안국가 불교나라들(태국, 미얀마, 스리랑카, 캄보디아, 라오스, 방글라데시, 부탄,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과의 교류를 일찍이 시작하였으며
불교 단체들의 북한 문화재 시찰 참배가 지속되어왔다. 일본승려들(공산당과 사회당)도 조일 불교친선회 주관으로 북한 불교연맹과 교류해 오고 있다.
해외 불교단체로서는 하와이 대원스님이 1987년에 북한 불교연맹을 방문하여 교류가 시작되었으며 세계불교 평화회의 또는 아시아 종교평화회의에서 남북
및
해외 대표들이 몽고, 일본, 인도와 같은 외국에서 만남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법타스님은 1989년 4월 15일 평양축전기간에 방문을 시작, 1991년에는 본인(김도안)과 함께 남과 북 해외불교지도자회의 미국개최를 위한 교섭방문을 한바
있고 마침내 미국 LA관음사에서 처음으로 남과 북 해외 불교지도자 연석회의가 열렸고, 그 후 계속해서 일본과 북경대회가 개최되었다. 또한 북한 식량지원을 위하여 북한 황해도 사리원에 국수공장을 설립하여 1일 7천명분의 국수를 생산하여 급식을 해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