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박 정권 말기에는 부처님 탄일을 국가 공휴일로 공포하여 기독 탄일과 부처님 탄일을 형평의 원칙을 지켜 공휴일로 하는데 역할을 했다고 보아집니다.
그후 박정희 대통령이 저격되고 최규하 대통령이 계승 하였지만 다시 전두환 정권의 군사적 침탈로 다시 재임 7년간을 보내었습니다. 그는 전대미문의 불교법란을 노태우씨와 주도하여 불교를 땅에 짓밟고 수많은 불교 승려들을 투옥 시켰습니다. 그러나 재임 이후 아이러니하게도 불교인의 보호아래 설악산 백담사에서의 유배생활을 통해 불교의 자비사상을 경험한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노태우 대통령은 선거공약으로 내세운 불교관계법을 개정하고 불교방송사 허가와 대구 팔공산 미륵대불 조성불사에 다소의 도움을 준 대통령 이었다고 합니다만
그는 불교를 신봉한 대통령은 아니고 정치야욕에 비자금 문제로 형을 사는 두 군부 전, 노 정권으로 기록될 수 밖에 없습니다.
김영삼 정부는 민선 대통령으로 추대를 받아 가장 민주적인 대통령으로 군림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군 법당 훼불사건과 불교계의 편향적 종교정책으로
불편한 심기로 남아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현 남한의 종교 현실을 살펴보면 카톨릭, 희랍정교, 구세군, 기독교, 불교, 유교, 대종교, 원불교, 천도교, 선덕도, 정일회, 이슬람교, 바하이정신회, 천리교, 국제도덕협회, 대순진리, 증산교 및 신흥 종교만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종교가 있어 마치 한국은 다종교 나라, 다신의 나라가 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