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media - buddhaRoad - Journal


인연의 소중함을 깨달아

지혜로운 삶을 살아 갑시다

포교사 곽노영

우리가 인연, 인연 (因緣)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만 정작 그 인연이 지니고 있는 뜻이 무엇이냐고 반문해 보면 선뜻 그 답이 나오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과(즉 결과) 를 생기게하는 내적인 직접원인 즉 근본원인을 “인”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이를 도와주는 간접적인 원인인 보조원인을 “연”이라고 합니다. 인을 도와서 과를 맺게하는 것을 “연”이라고 합니다. 그 외부의 연(외연)은 바깥의 모든 환경과 조건을 뜻합니다.  꽃나무를 싹티여 자라게 하기위해서는 꽃씨를 땅에 심어야 합니다. 그 씨앗이 바로 근본원인 즉 직접적인 원인인 내인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씨앗이 땅속에서 발아되어 땅위로 솟아오르려면 햇빛, 물, 습기, 바람, 온갖 거름등 모든것들이 모여 조화를 이루어 주어야 그 돋아난  싹이 무럭무럭 성장할수 있는 것입니다. 내적인 직접원인 즉 근본원인인 인과 간접적인 원인 즉 보조원인을 연이라하여 이것을 합하여 인연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가 화합되지 않으면 어떠한 결과도 가져올수 없는 것이 이 세상의 법칙입니다. 이것을 일러 곧 인연화합의 법칙이라 합니다. 즉 우리 불교교리엔 인, 연, 과라고 하는 인연법칙이 있어, 이 법칙을 따르면 인연의 소중함을 알게되고 따라서 만나는 사람마다 반가워하지 않을수가 없고 귀하게 여기지 않을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이러한 인연법칙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살면서 스치는 인연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기고 반가워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연법칙을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삶의 지표로도 삼는다면 지금과 같은 물질문명의 발달로인해 인간성이 점점 사라져가는 세상에서 우리 불자들만이라도 인간성을 다시 회복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이세상 돌아가는 이치가 변화무쌍하다는 말들을 합니다 . 바로 이 인연이라고하는 법칙이 있어 변화무쌍을 만들어 내어 인간도 태어나고 모든 사물도 발생하고 만나고 헤어짐도 이루어 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사물의 생멸변화(生滅変化)에는 인연화합(因緣化合)의 법칙이 있으며 존재와 존재사이에는 상호상관성(相互相関性) 법칙이 그리고 우리인간에게는 생로병사(生老病死)의 법칙이 있습니다. 이처럼 생주이멸(生住異滅)의 법칙이 존재합니다.  시간속에는 무상無常의 법칙이 있고 공간속에는 무아無我의 법칙이 있습니다. 또한 업業에는 인과응보因果應報의 법칙이, 우주의 법계에는 성주괴공 成·住·壞·空 법칙이 있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만나면 언젠가는 반드시 헤어진다는 “회자정리會者定離” 의 법칙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나는 인연도 중요하지만 헤어지는 인연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든 것은 인연이 다가와 성숙해질때는 하는 일마다 순리대로 잘 이루어집니다. 가정도 평화롭고 질병 재난등도 오지않아 일체가 편안합니다. 인연은 변합니다. 늘 움직입니다. 인연은 모이는 성질과 흩어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항상 머물러 있지않고 움직이고 변합니다. 이렇듯 우리가 만나고 헤어지는 것도 여러 인연이 모여 도와주어야 하는데, 한 인간의 생명이 탄생해서 한 생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인연들이 있어야 하겠습니까? 이런 수많은 인연가운데 어떤 인연에 의해 태어나고 죽는가? 그것은 바로 12 연기법 (緣起法)에의한 열두가지 과정을 통해서 생(生)과 사(死)가 있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현상은 인과(因果)의 법칙과 인연(因緣)의 법칙에 의해 상의상관성(相依相關性)속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으며 또한 이런 연기((緣起)법칙가운데 우리가 현재 존재하면서 현실로 나타나는 생과 사의 현상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설명해줘야 하는가에 대한 해답이 바로 12연기에 있는 것입니다. 왜 이세상의 모든 것은 죽어야 하는가? 그것은 늙고 병들기 때문입니다. 늙고 병들고 죽어야하는 괴로움이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태어난 생이 있기 때문입니다. 왜 태어나는가? 태어나는 어떤 원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원인은 무엇으로 인하여 생기는가? 애착하는 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애착하는 바가 있어서 태어난다고 했으니 태어난 후의 과정을 12 연기(緣起)의 법칙을 통해서 살펴 본다면, 현재의 삶은 과거 2인에 의해서 받는 것이며(즉 무명과 행 無明 行), 미래의 삶은 현재 3인에 의해서 받는 것입니다(즉 애 취 유). 현재 인생의 삶은 현재 5과에 의해 받는 것입니다(즉 식 명색 육입 촉 수). 이것이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5가지 결과를 말하는 것이며, 이것이 우리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살아가는 과정입니다.

회심곡은 서산대사께서 임진왜란을 승리로 이끄시고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기위해 지으신 곡으로 인연이 얼마나 소중한 지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내용인즉, - 이세상 천지만물중에 사람 밖에 또 있는가? 여보시오 시주님네들 이내 말씀 들어보소 이세상에 나올적에 뉘 덕으로 나왔는가? 모든 인연 공덕으로 아버님전 뼈를 빌고 어머님전 살을 빌며 칠성님전 복을 빌어 이내 일신 탄생하니 한두살에 철을 몰라 부모님 은덕 알을 손가?-  이 얼마나 효심을 비롯해서 뜻이 있고 내용이 간절합니까? 여러분! 이 회심곡의 한두 구절만이라도 읽고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할수만 있다면 불교공부는 물론이거니와 인생공부를 완전히 습득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계속은 붓다의 메아리/webs- 웹페이지buddhaRoad snsForum7에서 볼 수 있음 >

다른 페이지로 가기(3면)

<오른쪽 로고 크릭!! web home>